WEB/Linux9 명령어(touch, cp, vi, mkdir) 파일과 경로 생성 명령어에 대해 정리 한번 하고 넘어가려 한다. 파일 생성 명령어로는 3가지가 있다. 1. touch touch 을 가진 파일을 생성한다. 2. cp cp copy 의 약자로 기존 파일인 을 의 이름으로 생성한다. cp 명령어에는 경로를 복사할 수 있는 옵션 -R 기능이 있다. cp -R ex) cp -R config /tmp/config-bak 예시의 명령어는 config 경로 파일을 /tmp/config-bak으로 복사한다. 이때 config 안에 있는 하위 폴더 및 경로들까지 전부 복사된다. 3. vi vi vi 명령어는 편집기 명령어로 명령어 실행 후에는 에디터 화면으로 넘어간다. 관련 내용은 향후에 심도있게 정리하려 한다. 마지막으로 경로 생성 명령어이다. mkdir 의 경로를 .. 2024. 1. 28. Linux File Properties 리눅스는 윈도우와 비교하면서 배우면 훨씬 이해가 쉬운 것 같다. 윈도우에서의 Properties, 즉 속성은 우리가 자주 보던 파일의 세부정보이다. 우리는 이 속성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파일의 형식, 연결 프로그램, 크기, 만든 날짜 등을 알 수 있다. 리눅스에서는 해당 명령어를 통하여 현재 위치에 있는 파일들의 속성 정보를 알 수 있다. ls -l 각 컬럼에 대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. Type 속성에서 첫번째 알파벳을 통하여 해당 파일의 유형을 확인할 수 있으며, 그 유형들은 다음과 같다. 2024. 1. 27. 원격 연결 윈도우 환경에서 Linux로 원격 1. 윈도우 10 이하 버전의 경우 Putty 소프트웨어 설치 후 Linux로 원격 연결할 수 있다. Putty를 실행하면 위와 같은 창이 뜨고 Host Name에 Linux IP 주소를 입력 후 Open하면 원격 연결이 가능하다. 2. 윈도우 10 이상 버전의 경우 별도의 소프트웨어 설치 없이 cmd 창에서 바로 원격 연결이 가능하다. 아래의 명령어를 사용하여 위와 같이 Linux로 원격 연결이 가능하다. ssh -l 맥 환경에서 Linux로 원격 터미널에서 윈도우 10 이상의 버전의 경우와 같은 명령어로 원격 접속 가능하다. ※ Linux에서 IP 주소 확인 방법 ifconfig (CentOS 7 이하의 버전에서만 가능, 7.5 이상의 버전에서 사용하려면 "yum i.. 2024. 1. 26. Memory 값 변경 시스템 관리자로서 서버를 운영하다보면 메모리가 부족한 상황이 올 수 있다. 그러한 경우 물리적으로 메모리를 늘려주는 것은 효율적이지 않다. VM 내에서 Setting 값을 변경해주는 것만으로도 위와 같은 문제를 빠르고 간단하게 해결할 수 있다. 버튼을 클릭 후 카테고리 내에서 위와 같이 할당된 메모리를 변경해줄 수 있다. 2024. 1. 26. 이전 1 2 3 다음